기술할짝 시리즈 1 - Kotlin
서론 이 시리즈는 데브코스 커리어 TALK라는 강연에서 개발바닥 향로님이신 이동욱 CTO 님과 대화를 하다가 깨달은 부분이 있어서 시작하게 되었다. 나 : 지원하는 회사들과 언어 스택이 너무 다른것 같아 고민입니다. 따로 Node.js나 Kotlin같은 언어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학습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? 이동욱 CTO님 : 진행하면 ...
서론 이 시리즈는 데브코스 커리어 TALK라는 강연에서 개발바닥 향로님이신 이동욱 CTO 님과 대화를 하다가 깨달은 부분이 있어서 시작하게 되었다. 나 : 지원하는 회사들과 언어 스택이 너무 다른것 같아 고민입니다. 따로 Node.js나 Kotlin같은 언어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학습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? 이동욱 CTO님 : 진행하면 ...
서론 기존 마피아 투게더 게임은 실시간 통신을 Polling을 통해 구현해 두었다 그 이유는 러닝 커브, 구현 속도가 다른 기술에 비해 빠르게 때문에 선정하게 되었다. Polling의 시나리오는 이렇다 매 0.5초 마다 방의 상태를 물어봄 방의 기록된 현재 상태의 기한 (endtime)과 현 시간을 비교하고 지났을 경우 상태를 변경하여 방 ...
서론 쓰레드와 프로세스의 차이에 대한 면접 질문을 받았었다 CS 스터디할때 분명 한 기억은 있는데 너무 횡설수설 대답한 것 같았다 쓰레드 운영체제에서의 작은 실행의 최소 단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는 여러개의 스레드가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생성 속도가 빠르고 작은 메모리를 소모하며 정보 교환이 쉽고 컨텍스트 스위치가 빠르다 자원 선점과 동...